2018년 5월 25일 금요일

톰캣의 원리? - 작성중

"추상화 시켜서 하나하나 이해해 나가는데 효율적이다.
그렇다고 물론 무조건적으로 추상화 시키게 답은 아니다.
하층 구조를 어느 정도 염두하면서 추상화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."


일단,

-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html,jsp,servlet 페이지 호출

- 서버의 웹서버 프로그램(apache)에서 처음으로 처리

html페이지 요청일 경우, 그대로 클라이언트에게 html페이지 전송

html페이지가 아닌 jsp 나 servelt 일 경우, 웹컨테이너(tomcat) 에게 넘겨서 처리

- 웹컨테이너는 "jsp or servlet -> html" 변환시켜 웹서버 프로그램에게 다시 넘김

- 웹서버 프로그램은 변환된 html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





- 먼저 client 가 http://localhost:8080/index.jsp를 쳐서 요청을 한다고 하면

- 웹서버 프로그램(apache)에서 html이 아니기 때문에 jsp를 해석하기 위해서 tomcat의 common/lib 폴더를 뒤져서
해당 jsp파일을 servlet로 컴파일 합니다.

- 한번 컴파일 된 jsp파일은 다시 요청이 될 때, 변경사항이 없으면
기존에 컴파일된 서블릿을 그대로 사용하고 변동사항이 있으면 다시 컴파일하게됩니다.

- 오히려 JAVA application에서 컴파일 작업을 일일이 해주는것 대신에
jsp page를 호출하면 container가 자동으로 컴파일 작업을 해주는 것입니다.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